2020. 12. 7. 14:32ㆍ디자인/편집 디자인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1. 그리드 규칙
1) 텍스트 중심의 그리드 시스템
문서 안에 텍스트 내용이 많을수록 그리드의 역할이 중요한데, 특히 판형이 넓은 신문이나 잡지 종류를 작업할 때는 더 중요하다. 그 이유는 독자가 피로함을 느끼지 않고 많은 내용의 텍스트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심미적인 부분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나의 단보다는 정보를 종류별로 나누어서, 또는 넓은 판형을 보완할 수 있는 적당한 너비로 나누어 작업하는 것이 좋다.
단 너비는 글자의 크기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를 테면 단은 좁은데 글자가 크면 한 행에 들어가는 단어가 너무 적어 자주 행을 바꿔가며 읽어야 하는데 그러면 본문 내용에 집중하지 못하고 시각적으로도 밀도가 떨어져 심미적으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몇 줄 안된다면 모르겠지만 내용도 많다면 독자가 글을 읽는데 집중하지 못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단이 좁아질수록 글자의 크기도 작아져야 한다. 단 안의 글자 크기를 조절한다면 작은 판형에서도 여러 단으로 그리드를 나눌 수 있으나 글자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도 어느정도 시각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
이렇게 규정된 그리드 규칙이 자유로운 디자인을 방해할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지루해 보이는 그리드 안에서도 다양한 레이아웃을 구상할 수 있다. 4단으로 나누었다고 모든 페이지에 적용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변화 있게 그리드를 사용하려면 이웃한 단을 합쳐 다양한 형태로 사용하면 된다. 필요에 따라 한 권의 책에서 여러 종류의 그리드를 적용할 수 있다. 단, 다른 넓이의 단을 사용할 때는 문자의 강약을 고려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디자인해야 한다. 중요한 포인트는 전체적으로 일관성 있고 통일감 있는 그리드를 만들고 그 안에서 지루하지 않게 변화를 주는 것이다.
2) 이미지 중심의 그리드 시스템
‘백문이 불여일견’
시각적으로 강한 인상을 주는 이미지는 때에 따라 텍스트보다 효과적으로 메세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인쇄물에서는 이미지의 비중이 매우 높다. 그 중요성만큼 이미지를 넣을 때도 나름의 규칙이 있다. 이미지를 펼침면 전체에 넣을지, 한쪽면에만 넣을지, 박스 형태로 텍스트와 어우러지게 넣을지 등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한다. 하지만 어느 경우라도 텍스트와 이미지 면적의 비례를 신경 써야 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와 텍스트의 비율을 황금 비율로 적용해서 나눈다 거나 1:1로 나눈다는 기준이 필요하다.
그리드는 일반적으로 세로 단 형태로 분할되지만, 이미지를 강조하는 레이아웃에서는 가로로 나누기도 한다. 이 때는 텍스트보다 이미지를 먼저 배치해 전체 공간을 나누고 텍스트를 그 나머지 공간에 정리한다. 이미지의 크기가 크거나 개수가 많은 경우 더 짜임새 있고 안정적으로 배치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미지는 필름 프레임의 고정적인 형식 때문에 지면 배치에 제약이 따른다. 즉 이미지의 가로, 세로 비율이 정해져 있어 이미지의 특정 부분만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미지의 비율에 따라 레이아웃을 정해야 하기 때문에 까다롭다. 그렇다고 이미지를 무리하게 변형(Crop)해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이미지는 텍스트만 흐르는 지면의 지루함을 탈피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자극적인 비주얼 요소가 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문서를 여러 단으로 나누어 그 안에 텍스트와 어우러지게 넣거나 이미지를 과감하게 여백 바깥쪽까지 넓게 배열해 넣는 블리드(Bleed) 방식을 적용하거나 지면의 레이아웃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이미지 속 오브젝트만 분리해 아이콘처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미지를 텍스트와 나란히 사용할 때는 시각적 평행선을 지키는 것이 좋다. 자유롭고 과감한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이미지의 높이와 그에 해당하는 텍스트의 높이를 고려해 시선이 분산되지 않도록 꼼꼼히 정리해야 한다.
이 외에도 비주얼 요소를 사용하는 방법은 많다. 이미지 자체의 매력을 독자에게 제대로 전달하려면 이미지가 판면 안에서 얼마나 매력적으로 작용할지 고려해야 한다. 또한 다른 비주얼 요소와의 관계를 고려해 창의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해봐야 비로소 더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있다.
3) 여백 중심의 그리드 시스템
여백은 비주얼 요소(글이나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공간이다. 여백의 중요함을 이해하려면 여백을 단순히 비어 있는 공간이 아니라 하나의 오브젝트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넓은 의미에서 여백은 판면 전체의 비어 있는 공간, 구석구석인 동시에 의도적으로 글이나 텍스트를 강조하기 위해 비워 둔 공간이기도 하다. 각 요소가 차지하는 공간과 여백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팽팽한 균형을 유지해야 이상적인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비주얼 요소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뿐 아니라 공간을 어떻게 남길 것인가에 대한 생각도 필요하다. 대부분의 디자이너는 무의식 중에 공간도 디자인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죽은 공간이 언제든 생겨날 수 있으니 레이아웃을 설정하기 전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이렇듯 여백은 평면적인 레이아웃에 입체적인 공간감을 부여하며 단조로운 페이지에서 다이나믹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디자인 > 편집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집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2 (0) | 2020.12.14 |
---|---|
편집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1 (0) | 2020.12.14 |
편집 디자인- 그리드 1 (0) | 2020.12.07 |
편집 디자인- 종이의 방향 (0) | 2020.11.25 |
편집 디자인- 종이의 종류 (0) | 202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