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편집 디자인(14)
-
편집 디자인- 색상 3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이론만 정리한 것입니다. 1. CMYK 앞서 정리한 것과 같이 CMYK는 물감, 잉크, 인쇄 등에서 색료를 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흔히 말하는 컬러 인쇄는 잉크의 4원색으로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블랙(Black) 잉크를 혼합해 만든 색상이다. 각 잉크의 글자를 따서 CMYK라고 하는데 K는 Black의 K 또는 색조를 나타내는 Key의 앞 글자입니다. 컬러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하프톤 망점으로 구성된 각각의 스크린을 사용하는데, 인쇄된 망점의 집합은 점묘화처럼 착시 현상을 일으켜 눈에는 혼합된 색상으로 보인다. 망점의 스크린 각도가 같으면 색상이 뭉치거나 무아레(이미지가 흐리거나 ..
2021.01.06 -
편집 디자인- 색상 2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컴퓨터 그래픽에서 표현할 수 있는 색상 체계는 크게 RGB, CMYK, Lab, Gray Scale로 나뉜다. 기본적인 컬러 모드는 RGB를 기준으로 하며, 각 컬러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이 다르므로 작업 목적에 따라 그에 맞는 색상 체계를 사용해야 한다. 1. RGB 모드 RGB 모드는 빛의 삼원색인 Red, Green, Blue 세 종류의 광원을 이용해 색을 표현하는 가산혼합 방식이다. 이 방식은 색을 혼합할수록 밝아지므로 빛의 강약을 통해 색의 농도를 설정한다. 세 종류의 광원을 모두 섞으면 White가 되는데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혼합에 의해 증가하기 때문이며 ..
2021.01.03 -
편집 디자인- 색상 1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1. 색상 선택 디자인을 비롯한 많은 분야에서 심리적인 요인으로 색을 사용하는 만큼 색은 심리적인 부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색은 개인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모두가 동일한 색에 똑 같은 반응을 한다고 볼 수는 없다. 색의 기호도는 개인, 연령, 집단, 사상, 문화적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해서 주관적이라고 볼 수 있으나, 통계학적으로 혹은 대중적으로 좋아하는 색 선호도에는 트렌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름을 쓸 때는 빨간색을 선호하지 않지만 립스틱이나 드레스, 구두처럼 화려함과 자신감을 드러낼 때에는 자주 쓰인다. 이런 현상..
2021.01.03 -
편집 디자인- 표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잘 그린 표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애뉴얼 리포트(Annual Report) 또는 브로슈어 같은 편집물을 보면 알 수 있다. 흔히 인포그래픽(Infographic)으로 불리는 디자인에 표가 포함되는데 정보를 보기 쉽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표만한 서식이 없기 때문이다. 세련된 표 표를 그릴 때는 제목과 내용 부분을 구분해 강약을 주는 것이 좋다. 선은 얇게 혹은 생략해서 그리는 것이 좋은데, 의도하지 않은 성의 없는 선은 시각적으로 지루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조해야 하는 부분이 아니라면 얇은 선 또는 점선을 사용한다. 선이 굵어지면 본문 텍스트와 충돌해 어수선해지는데 이런..
2020.12.23 -
편집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3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3) 콘셉트 및 상황에 따른 적용 - 서체의 크기 일차적으로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서체의 크기이다. 서체가 크면 잘 보이고 작으면 잘 안 보이지만 여러 문단으로 이루어진 텍스트를 읽을 때는 너무 큰 글자도 가독성이 떨어진다. 보통 30cm정도의 거리에서 책을 읽는다고 가정할 때 이상적인 본문 서체의 크기는 8~12pt 정도이다. 하지만 글자 사이의 간격(자간 및 행간)과 독자의 연령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앞서 말했듯 두가지 이상의 서체를 사용할 경우 시각적으로 서체의 크기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 자간 자간은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2020.12.15 -
편집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2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2) 세리프와 산세리프, 명조와 고딕 한글 디지털 폰트는 형태적으로 크게 명조체와 고딕체로 나뉘고, 구조적으로는 네모꼴과 탈네모꼴로 구분할 수 있다. 해외에도 다양한 분류 체계가 있으며 올드페이스, 트랜지셔널, 스크립트 등이 이에 해당된다. 서체 이름에는 주로 만든 이의 이름이 들어가지만 분류 체계를 적용해 만들기도 한다. - 명조체와 고딕체 명조와 고딕은 한국식으로 풀이했을 때 바탕체와 돋움체라 할 수 있으며 학문적으로는 세리프(serif)와 산세리프(Sans-serif)가 된다. 세리프는 명조체와 고딕체를 구분 짓는 요소로 서체의 획 아래나 위에 나 있는 삐침을 뜻하는데 바..
2020.12.14 -
편집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1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1) 글꼴? 서체? 비슷하거나 모호한 용어가 많아서 자주 혼용해 쓰기도 한다. 글자(Letter), 글꼴(Letter Form), 활자(Typo)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글자의 모양을 의미한다. 서체(Typeface) 글자체(Letter Style), 활자체(Typeface), 캐릭터 세트(Character Set)는 글자 한 벌 전체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스타일을 뜻하며, 타이포그래피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집합체를 묶어 폰트(Font)라고 한다. 서체를 전문적으로 디자인하는 게 아니라면 의미만 알고 넘어가도 문제는 없다. 서체를 각각의 글꼴만 아니라 글꼴끼리 같은 체계와 비율을 ..
2020.12.14 -
편집 디자인- 그리드 2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1. 그리드 규칙 1) 텍스트 중심의 그리드 시스템 문서 안에 텍스트 내용이 많을수록 그리드의 역할이 중요한데, 특히 판형이 넓은 신문이나 잡지 종류를 작업할 때는 더 중요하다. 그 이유는 독자가 피로함을 느끼지 않고 많은 내용의 텍스트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심미적인 부분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나의 단보다는 정보를 종류별로 나누어서, 또는 넓은 판형을 보완할 수 있는 적당한 너비로 나누어 작업하는 것이 좋다. 단 너비는 글자의 크기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를 테면 단은 좁은데 글자가 크면 한 행에 들어가는 단어가 너무 적어 자주 행을 바꿔가며 읽어야 하는..
2020.12.07 -
편집 디자인- 그리드 1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1. 종이 위에서의 규칙 그리드는 판면에 일관성과 통일성을 나타내며, 독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가독성을 높여 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작은 판형은 주로 1단, 큰 판형은 주로 2단 이상으로 단(칼럼, Column)을 나눠 작업한다. * 작은 판형이라고 무조건 1단일 필요는 없다. 판면의 면적뿐 아니라 텍스트의 크기와 조밀한 정도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1) 판면 페이지에서 글과 그림이 들어가는 전체 영역이다. 여백의 너비에 따라 위치가 변하고 판면을 설정할 때는 독자의 성향에 따라, 인쇄물의 두께가 제책 방식에 따라 영역을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그리드는..
2020.12.07 -
편집 디자인- 종이의 방향
* 해당 본문은 '편집디자인 강의 with 인디자인'의 책을 보고 공부한 토대로 정리한 글이며 이론에 한해서만 정리한 것입니다. 종이는 앞, 뒷면이 다르고 방향도 존재한다. 종이결은 종이를 만들 때 기계가 지나간 방향으로 생기는 섬유질의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기계로 만든 종이에만 종이결이 생기며, 손으로 직접 만든 종이에는 결이 생기지 않는다. 1. 제작에 영향을 미치는 종이결 종목(Long Grain, 세로결): 긴 면과 결이 평행한다. 횡목(Short Grain, 가로결): 짧은 면과 결이 평행한다. 종이는 결 방향에 따라 쉽게 찢어지고 접히기 때문에 인쇄물을 재단하고, 접지 및 제본을 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여러 페이지로 구성된 책이나 브로슈어 같은 경우 종이결은 페이지를 넘기는 방향과 수직으..
2020.11.25